본문 바로가기
정보

전기세는 어떤 계산방식으로 청구될까?

by missionrich 2025. 6. 26.
반응형

전기요금은 다음과 같은 구조로 산정됩니다:


⚙️ 1. 전기요금 계산 구조

전기요금 최종 계산식은 아래와 같습니다:

기본요금 + 전력량요금 + 기후환경요금 ± 연료비조정요금 + (부가가치세 10%) + (전력사업기반기금 3.7%)
  • 기본요금: 계약전력 또는 계량 단위당 고정 요금 (가정용은 저압 기준)
  • 전력량요금: 실제 사용한 전력량(kWh)에 따른 요금
  • 기후환경요금: 탄소세, 신재생에너지 정책 등 환경부담금
  • 연료비조정요금: 분기별 국제 연료가격 변동을 반영한 조정 요금 (kesis.keei.re.kr)

🏠 2. 가정용(저압) 전력·전력량요금 체계

  • 계층별 누진요금 적용 (2021년 기준 3단계)
    • 1단계: 월 200 kWh 이하
    • 2단계: 201~400 kWh
    • 3단계: 400 kWh 초과
  • **여름철(7~8월)**에는 누진 구간 완화 적용
    • 1단계: 300 kWh 이하 / 2단계: 301~450 kWh / 3단계: 초과 (kesis.keei.re.kr)

예를 들어,


🧾 3. 월별 요금 예시 (표준 주택용)

사용량 구간 기본요금 전력량요금 (kWh당)

0–100 kWh 약 410원 약 60.7원
101–200 kWh 약 910원 약 125.9원
201–300 kWh 약 1,600원 약 187.9원
이후 단계별 (집중 사용 시) 단계별 증가 수백원 대 (news.samsungsemiconductor.com, kesis.keei.re.kr)

기본요금은 호당 납부하며, 저압 주택용의 경우 위 금액 기준


🔄 4. 연료비조정요금 & 기후환경요금

  • 기후환경요금: 2021년 약 5.3원, 2022년 7.3원, 2023년 9.0원으로 단계적 인상 (kesis.keei.re.kr)
  • 연료비조정요금: 분기별 ±1~5원/kWh 범위 내에서 조정되며, 실제 집행은 정부 판단 후 결정 (kesis.keei.re.kr)

✅ 정리

  1. 기본요금: 계량기나 계약전력에 따라 일정 금액
  2. 전력량요금: 실제 kWh 사용량 × 각 누진단계 요금
  3. 환경·연료조정요금: 기후환경 및 국제연료비 반영
  4. 부가세(10%) + 지원기금(3.7%): 최종 합계금액에 부과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