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전기요금은 다음과 같은 구조로 산정됩니다:
⚙️ 1. 전기요금 계산 구조
전기요금 최종 계산식은 아래와 같습니다:
기본요금 + 전력량요금 + 기후환경요금 ± 연료비조정요금 + (부가가치세 10%) + (전력사업기반기금 3.7%)
- 기본요금: 계약전력 또는 계량 단위당 고정 요금 (가정용은 저압 기준)
- 전력량요금: 실제 사용한 전력량(kWh)에 따른 요금
- 기후환경요금: 탄소세, 신재생에너지 정책 등 환경부담금
- 연료비조정요금: 분기별 국제 연료가격 변동을 반영한 조정 요금 (kesis.keei.re.kr)
🏠 2. 가정용(저압) 전력·전력량요금 체계
- 계층별 누진요금 적용 (2021년 기준 3단계)
- 1단계: 월 200 kWh 이하
- 2단계: 201~400 kWh
- 3단계: 400 kWh 초과
- **여름철(7~8월)**에는 누진 구간 완화 적용
- 1단계: 300 kWh 이하 / 2단계: 301~450 kWh / 3단계: 초과 (kesis.keei.re.kr)
예를 들어,
- 100 kWh 이하 구간은 kWh당 약 60원대,
- 200kWh 초과 시에는 125~280원대 이상 적용 (news.samsungsemiconductor.com).
🧾 3. 월별 요금 예시 (표준 주택용)
사용량 구간 기본요금 전력량요금 (kWh당)
0–100 kWh | 약 410원 | 약 60.7원 |
101–200 kWh | 약 910원 | 약 125.9원 |
201–300 kWh | 약 1,600원 | 약 187.9원 |
이후 단계별 (집중 사용 시) | 단계별 증가 | 수백원 대 (news.samsungsemiconductor.com, kesis.keei.re.kr) |
기본요금은 호당 납부하며, 저압 주택용의 경우 위 금액 기준
🔄 4. 연료비조정요금 & 기후환경요금
- 기후환경요금: 2021년 약 5.3원, 2022년 7.3원, 2023년 9.0원으로 단계적 인상 (kesis.keei.re.kr)
- 연료비조정요금: 분기별 ±1~5원/kWh 범위 내에서 조정되며, 실제 집행은 정부 판단 후 결정 (kesis.keei.re.kr)
✅ 정리
- 기본요금: 계량기나 계약전력에 따라 일정 금액
- 전력량요금: 실제 kWh 사용량 × 각 누진단계 요금
- 환경·연료조정요금: 기후환경 및 국제연료비 반영
- 부가세(10%) + 지원기금(3.7%): 최종 합계금액에 부과
반응형
'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항암 중이라면 꼭 알아야 할 면역 강화를 위한 보약 같은 정보~! (0) | 2025.06.29 |
---|---|
갑상선 저하증의 원인과 증상에 대해 알고 대처하기 (0) | 2025.06.29 |
근로장려금 신청기준과 지급방식에 대한 똑똑한 정리 (1) | 2025.06.26 |
휴일근무했다면? 휴일대체제도 혹은 휴일수당 꼭 챙기세요 (0) | 2025.06.26 |
회사의 4대 보험 미납으로 발생한 체납상황 불편해결 방법 (1) | 2025.06.23 |